알고리즘 공부/수학

백준6064번 with Kotlin

_우지 2021. 8. 17. 15:20

카잉 달력 성공출처다국어

한국어   

시간 제한메모리 제한제출정답맞은 사람정답 비율

1 초 256 MB 40594 9630 7182 24.261%

문제

최근에 ICPC 탐사대는 남아메리카의 잉카 제국이 놀라운 문명을 지닌 카잉 제국을 토대로 하여 세워졌다는 사실을 발견했다. 카잉 제국의 백성들은 특이한 달력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. 그들은 M과 N보다 작거나 같은 두 개의 자연수 x, y를 가지고 각 년도를 <x:y>와 같은 형식으로 표현하였다. 그들은 이 세상의 시초에 해당하는 첫 번째 해를 <1:1>로 표현하고, 두 번째 해를 <2:2>로 표현하였다. <x:y>의 다음 해를 표현한 것을 <x':y'>이라고 하자. 만일 x < M 이면 x' = x + 1이고, 그렇지 않으면 x' = 1이다. 같은 방식으로 만일 y < N이면 y' = y + 1이고, 그렇지 않으면 y' = 1이다. <M:N>은 그들 달력의 마지막 해로서, 이 해에 세상의 종말이 도래한다는 예언이 전해 온다. 

예를 들어, M = 10 이고 N = 12라고 하자. 첫 번째 해는 <1:1>로 표현되고, 11번째 해는 <1:11>로 표현된다. <3:1>은 13번째 해를 나타내고, <10:12>는 마지막인 60번째 해를 나타낸다. 

네 개의 정수 M, N, x와 y가 주어질 때, <M:N>이 카잉 달력의 마지막 해라고 하면 <x:y>는 몇 번째 해를 나타내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. 

입력

입력 데이터는 표준 입력을 사용한다. 입력은 T개의 테스트 데이터로 구성된다. 입력의 첫 번째 줄에는 입력 데이터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 T가 주어진다. 각 테스트 데이터는 한 줄로 구성된다. 각 줄에는 네 개의 정수 M, N, x와 y가 주어진다. (1 ≤ M, N ≤ 40,000, 1 ≤ x ≤ M, 1 ≤ y ≤ N) 여기서 <M:N>은 카잉 달력의 마지막 해를 나타낸다.

출력

출력은 표준 출력을 사용한다. 각 테스트 데이터에 대해, 정수 k를 한 줄에 출력한다. 여기서 k는 <x:y>가 k번째 해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. 만일 <x:y>에 의해 표현되는 해가 없다면, 즉, <x:y>가 유효하지 않은 표현이면, -1을 출력한다.

예제 입력 1 복사

3 10 12 3 9 10 12 7 2 13 11 5 6

예제 출력 1 복사

33 -1 83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53
54
55
56
57
58
59
60
61
62
63
64
65
66
import java.io.BufferedReader
import java.io.BufferedWriter
import java.io.InputStreamReader
import java.io.OutputStreamWriter
 
 
val br = BufferedReader(InputStreamReader(System.`in`))
val bw = BufferedWriter(OutputStreamWriter(System.out))
 
fun main()=with(br){
    val n = readLine()!!.toInt()
    for(i in 0 until n){
        var(m,n,x,y) = readLine()!!.split(" ").map{it.toInt()}
        var gcd = 0
        if(m>n){
            gcd = gcd(m,n)
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else{
            gcd = gcd(n,m)
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var lcm = m*n/gcd
        var key = x
        var door = false
        if(y==n){
            while(key<=lcm){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//bw.write("$key\n"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if(key%n==0){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door = true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break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else{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key+=m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else {
            while (key <= lcm) {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//bw.write("$key\n")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if (key % n == y) {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door = true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break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} else {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key += m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if(door) {
            bw.write("$key\n")
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else{
            bw.write("-1\n")
        }
    }
    bw.flush()
    bw.close()
}
fun gcd(m:Int,n:Int):Int{
    var a = 0
    if(n==0){
        return m
    }
    else{
        a = m%n
    }
    return gcd(n,a)
}
cs